아이튠즈 총정리 문답 게시판 :: 바로가기
관련 링크
다음 팟 인코더 :: http://tvpot.daum.net/encoder/PotEncoderSpec.do
MP4TE :: http://www.bomijoa.com/
요즘 그냥 좀 그래서(이거 다 부사 맞죠?) 애니메이션들을 좀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보고 괜찮은 것들은 터치에 넣고 있는데요. 야외에 놀러가서도 심심풀이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말이죠.
거의 관심 없이 설치만 해 놓고 내팽개쳐 두었던 다음 팟 인코더 로 변환을 해 봤습니다.
기존 여러 '변환툴' 들이 많았습니다. 국산에는 바닥에서 부터 유마일 인코더, 유료화한 곰인코더 등등, 외국산에는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죠.
그 중에 다음 팟 인코더를 선택한 이유는 '다음 팟 플레이어' 에 대한 애정과 더불어 특별한 설정이 없어도 쉽게 변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설정은 해 줘야 합니다.
다음 팟 인코더 변환 설정
다음 팟 인코더는 다음에서 만든 동영상 변환 툴 입니다. 화면도 깔끔하고, 무료, 게다가 별다른 설정을 하지 않아도 쉽게 인코딩(다섯가지 중에 하나만 선택해도 됩니다) 할 수 있습니다. 물론 보다 자세하게 설정해서 '질' 좋은 영상을 가져올 수 있기도 합니다. 무엇보다도 '한글' 로 간단하게 설명을 해 주기 때문에 직접 다른 부분들을 설정하셔도 선택하는데 무리가 없을 것 입니다.
먼저 팟 인코더를 실행하고, 오른쪽 위 '불러오기' 를 눌러 인코딩 할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그러면 시간이 좀 걸린 후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역시 화면 왼쪽 아래에 '인코딩' 으로 나오는 부분이겠죠. 다섯가지의 선택 방법이 있고, 그중에 [MP4]PSP, iPod 및 핸드폰용 을 선택하고 '인코딩 시작' 을 누르면 큰 무리 없이 볼 수는 있습니다.
그런데 화면 비율이 4:3 으로 되어 있어, 좌우가 넓은 화면은 위 아래 부분을 검은색으로 채워 버리더군요. 이런건 제가 원하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위 그림에서 '인코딩 옵션' 에 오른쪽에 있는 '고급설정'을 눌러 설정창을 불러 왔습니다. 다른 설정은 손대지 않았고, '화면' 탭에서 아래와 같이 바꿔 줬습니다.
물론, 보다 자세하고 질 좋은 결과를 위한 설정 방법도 있겠습니다만, 어차피 작은 화면에서 보는 '결과 값'이라면 좋은 화질은 별 의미가 없겠죠. 다른 좋은 설정값을 갖고 계시다면 리플로 알려주세요~
추가 ::
최면 님께서 리플로 알려주신 내용을 추가합니다.
'상식'에 속할 수도 있는 부분입니다만, 간혹 실수하는 경우가 있는데. '프레임 값' 이나 오디오 설정 등 에서 원본 보다 높은 값으로 인코딩을 하는 겁니다. 이렇게 하면 나아지는 것은 없고, 용량만 늘어나게 되죠.
쉽게 예를 들면 사무실 복사기로 복사를 할 때, 원본이 흑백이라면, 어떤 방법을 써도 컬러로 만들 수 없는 것과 같은 이치 입니다. 물론 색을 칠하면 되겠지만, 그게 원본은 아니죠.
아래 그림은 팟 인코더에서 기본 설정 입니다. 이 부분은 그대로 두시고, 위의 '화면' 부분에만 수정을 하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MP3 파일 의 경우도 '좀 더 좋게' 만들겠다고 비트레이트를 올리시는 경우가 간혹 있는데, 그렇게 한다고 해서 없던(혹은 사라진) 소리가 되살아나지 않습니다.
MP4TE 로 자막 넣기
MP4TE 라고 아이팟 MP4 동영상에 자막을 넣어주는 프로그램 입니다. 작년 8월에 나온 걸 몰랐다가 3월에 올린 터치 세팅에 리플을 달아주신 분 덕에 잘 활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전에는 동영상 위에 자막을 아얘 입히는 방식으로 밖에는 활용을 못했었죠. 물론 단점은 있습니다. 아이팟에 있는 글꼴 Font 이 제한이 있기 때문에 원하는 글꼴로 보려면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원하는 글꼴이 있는 분들에게는 마음에 안들 수도 있겠구요.
하지만, 원본 화질을 그대로 유지하고, 자막을 껐다 켰다 할 수 있으며, 다중언어 설정으로 한국어 외의 다른 자막도 추가할 수 있어, 어학 공부용으로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먼저 홈페이지에 가시면 0.5.4 버전이 있는데, 자꾸 에러가 나면서 종료되길래 0.5.1 버전을 다시 받아 설치, 제대로 동영상에 자막을 입혔습니다.
아래는 0.5.1 버전 링크입니다.
http://www.bomijoa.com/?document_srl=773
그리고 위 어플을 활용하려면 닷넷 프레임워크 3.5 가 필요합니다. 설치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주소에서 다운로드 받고 설치하셔야 합니다. (저도 이 프로그램을 위해서 별도로 설치했습니다)
http://msdn.microsoft.com/en-us/netframework/aa569263.aspx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을 등록한 화면입니다.
파일 등록은 '드래그 드롭'으로만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막을 등록하기 위해 등록된 파일을 더블클릭 합니다.
그러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여기서 자막 파일을 등록합니다.
마찬가지로 자막 파일을 마우스로 끌어다 놓으세요.
파일 이름이 같은 경우는 자동으로 가져옵니다.
Language 를 선택해 주고 'OK' 를 누르면 설정은 완료 됩니다.
그리고 나서 'Batch Generate' 를 눌러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총 세번의 변환 가정을 거칩니다.
(생각보다 시간이 좀 많이 걸립니다 인코딩하는 정도보다 약간 적게)
자막이 있는 영상은 아래 왼쪽에 아이콘이 나옵니다.
이 아이콘을 누르면
위와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자막언어를 선택해 줍니다.
(미확인 언어는 따로 설정을 안했더니 저렇게 나오네요)
초속 5cm 의 한장면 입니다.
자막과 영상 맞추기
영상과 자막이 함께 있는 것을 구하면 별 문제가 없겠지만, 항상 그런 것만은 아닙니다. 특히 자막과 영상을 따로 구할 경우, 자막이 영상이랑 안맞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런 경우 대부분은 시간만 수정을 해 주면 됩니다.
아래 링크에 자막 관련한 여러 어플들이 있으니 참고하시고, 링크 중 SmiSyncMaster 를 쓰시면 될 듯 합니다.
http://mcmx.tistory.com/130
다시 말씀 드리지만 영상과 자막을 같이 받았다 하더라도, 플레이 하면서 확인을 하고, 인코딩, 자막 넣기를 하시길 권합니다.
마지막으로 iTunes 에 영상을 등록하는 방법은 iTunes 공부 - iTunes 에 음악, 동영상 등록하기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댓글 17개: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자막을 켜고 끌 수 있도록 입힐 수 있다는건 처음 알았네요. 어학용 동영상에 적용하면 좋을 듯 하네요
안녕하세요~ grollcake 님.^^.
저도 다른 분께서 소개해 주셔서 알게 된 거에요.^^.
아참.. 실수하는 부분이 많은게;;
팟인코더에서 인코딩할 때.. 30프레임 넘는게 아니라면.. 프레임은 원본 그대로 -0-; 24프레임짜리 30프레임으로 만든다고 더 좋아지는 것도 아니고 오히려 용량만 느는데도 그렇게 하시는 분이 있길래요 ㅎㅎ
그리고.. 음질도.. 원본 음질보다 더 좋게 설정하지 말았으면;;
자막은 참 쓸만하네요 ^^* 요즘 다시 드래곤볼 Z 애니메이션.. (291편 짜리..)보는데 인코딩해봐야겠어요 ㅎㅎ
앗! 말씀하신 부분 참고해서 추가해야 겠습니다.
'원본'보다 '높은' 것으로 한다 해서 질이 좋아지는 건 아니라고.
드래곤볼.. 291 편. 후아~! 엄두가 안나네요.^^;
아, 자막파일이 있는 동영상을 어케하나 했더니, 자막 넣기를 해야 하는군요. 연습삼아 해 봐야 겠습니다.
다음tv팟은 버퍼링이 심해서 그리 좋아하지 않는데, 동영상을 다운받을 수 있나 봅니다. 이것도 실습해 봐야 겠습니다.
연습과 실습의 반복? ㅋㅋㅋㅋ
지저깨비님께~
아마도 아프리카 랑 비교하셔서 버퍼링을 말씀하신 듯 한데요. 아무래도 아프리카가 화질이 좀 많이 떨어지죠. 소스 면에서는 다음 TV 팟이 나은 면도 있고.
다운로드는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mp4te를 사용해 보고 싶은데 개발자분 블로그가 막혔더군요 혹시 설치파일 가지고 계시면 부탁드려두 될까요?
안녕하세요 만준님. 흐음. 정말 막혔군요.
목적이 분명한 블로그에서 새로운 방법을 안내해 주시고 계시네요.
바로가기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그런데 처음에 팟인코더로 인코딩할 때 자막은 없음으로 해야 하나요?
즉, 자막을 팟인코더에서 넣어야 하나요,
mp4te에서 넣어야 하나요? ^^
안녕하세요. kiseok님^^
팟인코더에 자막은 영상에 자막을 덧씌우는 방식입니다.
그래서 자막을 켰다 껐다 할 수 없죠. 따라서 팟인코더의 자막은 무시를 하시면 됩니다. ^^.
.
답변 감사합니다.
어제 집에 가서 삽질을 좀 했더니
이제야 좀 알겠네요. ^^
그치만 mkv파일은 역시 무리... ㅜㅜ
avs video converter로 돌리고(mkv->avi)
또 유마일이나 팟코더로 돌리려니 귀차니즘이... ㅜㅜ
그래서 mkv는 그냥 집에서 보고 있답니다...
mkv 에서 바로 mp4 로 변환이 안되나요? 팟 인코더에서 바로 될 듯 한데요.
변환은 되는데 넣으려고 하니까
itunes에서 거부반응을 보이더군요...^^
진눈깨비님... MP4TE 질문 좀 할게요^^
MP4TE를 이용해서 동영상에 자막 씌우기 위해서는
(1) MP4 동영상 파일
(2) SRT 자막 파일
이렇게 두가지 준비물이 필요하잖아요..
근데 제가 0.5.4 버전이랑 0.5.1 버전 둘 다 해봤지만
에러만 나고 실행이 안되네요 ㅠㅠㅠㅠ
설명해 주신 것처럼...
동영상 등록하고, 동영상 더블클릭해서 자막 등록하고
OK 버튼 누른 다음에 BATCH GENERATE 버튼 눌렀는데
에러만 나네요 ㅠㅠ
어디에서 잘못된 걸까요??
어;;; 파일을 어디서 구하신 거에요?
지난 여름 즈음에서 bomijoa 님께서 내린 걸로 아는데요.
닷넷 프레임 워크는 설치하신거죠?
음. 저도 최근에는 쓰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이 글 쓸 당시에는 0.5.4 버전이 잘 되는 사람, 0.5.1버전이 잘 되는 사람, 둘 다 안되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일단 자막을 다른 버전을 구해서 해 보세요. 그리고 저는 자막 입히는 다른 방법을 찾아 올려야겠습니다. 도움이 못되어서 죄송합니다.
bomijoa님 홈피에 가니까 링크 걸려 있었어요.
닷넷 프레임 워크도 설치했구요...
다른 동영상 파일로 해봐도 마찬가지네요..
동영상도 mp4파일이고 자막도 SRT파일에 인코딩도 분명히 UTF-8로 되어 있는데도 왜 자꾸 에러가 나는지 모르겠어요 ㅠㅠ
혹시 자막 입히는 프로그램중에
MP4TE 말고 다른 방법 아시는거 있으세요??
시도해 보진 않았지만 다른 방법, 다른 프로그램이 있습니다.
http://eu81273.tistory.com/203
이것도 텍스트모드를 이용한 방법이라 일반인들이 쉽진 않은 듯 해서 저도 따로 소개를 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큰 문제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어요.^^
댓글 쓰기